-
응능부담의 원칙에 따른 조세공평의 원칙(조세 세금 전문 변호사 장세경)국세/일반 2025. 4. 7. 11:11
안녕하세요.
세법전문 변호사 장세경입니다.
오늘은 세무실무에서 쓰이는 것보다 법령 자체가 납세자에게 억울하게 입법되거나 해석된 경우에 다툴 수 있는 원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응능부담의 원칙에 따른 조세공평의 원칙
응능부담의 원칙이란 간단히 세금을 납부할 능력이 있는 자가 세금을 부담한다는 원칙입니다.
헌법재판소에서는 응능부담의 원칙을 수평적 조세 정의 및 수직적 조세정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응능부담의 원칙은 조세공평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수평적 조세정의: 동일한 소득은 원칙적으로 동일하게 과세될 것
- 예를 들어 A와 B가 각각 100원을 벌었다면 A, B에 대한 세금은 동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수직적 조세정의: 소득이 다른 사람들 간의 공평한 조세부담의 배분
- 예를 들어 A는 200원, B는 100원을 벌었다면 A와 B에 대한 세금의 적용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2. 응능부담의 원칙에 따른 조세공평의 원칙에 반하는 법률 및 해석
조세공평의 원칙은 헌법 원칙이므로 이에 반하는 조문 및 해석은 위헌으로서 무효입니다.
실제 응능부담의 원칙에 따른 조세공평의 원칙에 반하여 위헌으로 난 경우가 있습니다.
'국세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사소송에 따른 조정결정 등을 근거로 쟁점주식 실소유자는 피상속인의 동생으로 보아야 한다는 후발적 경정청구를 거부한 사건에 대해 조세 세금 전문 변호사가 소개하는 사례 (0) 2025.04.07 이혼과정에서 양육비 명목으로 증여받은 부동산에 대한 수익자의 사해의사는 없으므로 국세에 대한 채권자취소 대상이 아니라는 판례 소개해드립니다. (0) 2025.04.07 법인의 과점주주 세금에 대한 제2차 납세의무 (조세 세금 전문 변호사 장세경) (0) 2025.04.07 가산세의 종류 및 면제되는 경우(조세 세금 전문 변호사 장세경) (0) 2025.04.07 징수권의 소멸시효에 대한 세금 변호사의 설명 (부과제척기간과 구별) (0) 2025.04.07